레이블이 Mac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Mac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토요일, 8월 21, 2010

Mac: Firefox에서 바로 사전 찾아 보기

https://addons.mozilla.org/en-US/firefox/addon/7261/

위 Add on을 설치하면 Mac OS X의 Firefox에서 바로 사전 찾아보기가 가능하다.

월요일, 6월 14, 2010

Mac: 스포트라이트에서 원하는 키워드로 파일 찾기

Freeplane이라는 MindMap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했다고 하자.
이 프로그램을 Spotlight에서 Mindmap이라는 키워드로 바로 검색하여 실행하고 싶은데 검색이 안된다. 어떻게 해야할까?

간단하다. Freeplane 프로그램의 "정보 입수" 컨텍스트 메뉴를 선택하여 Spotlight 주석 항목에 Mindmap이라고 입력해주면 된다.
다시 Spotlight에서 Mindmap이라고 검색해보면 이번에는 원하는 Freeplane 어플리케이션이 검색되어 나타난다.

토요일, 6월 12, 2010

Mac: 스포트라이트에서 바로 폴더 여는 방법

MacOS X의 Spotlight 기능을 사용하면 문서를 손쉽게 찾을 수 있다. 찾은 결과를 마우스로 선택하거나 엔터키를 치면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문서를 연다.
해당 문서 파일이 있는 폴더를 열려면 어떻게 해야할 까? Command 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를 클릭하거나 엔터키를 입력하면 된다.

Apple이 제공하는 Tip 동영상을 확인해보자.

수요일, 6월 09, 2010

지름신: New MacBook 지르다


3년간 사용하던 iMac을 처남에게 양도하고 New MacBook을 오늘 질렀다.

(from Apple Store)

MacBook Pro 13인치와 New MacBook 흰둥이 사이에서 많이 고민했지만 H/W 사양이 거의 동일하고 가격은 20만원 정도 싸서 MacBook 흰둥이로 결정했다. 남은 돈은 나중에 iPad가 한국에 나오면 보태서 사야지 히히.

앞으로 MacBook으로 iPhone Application도 좀 작성해야 할터인데 예전에 iMac도 개발에는 별로 활용은 하지 않아서 이번에도 마찬가지 아닐지 걱정 :)

혹시 나처럼 MacBook이냐 MacBook Pro 13인치냐를 놓고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해 개인적으로 참고한 Macworld 잡지 기사의 링크를 걸어두니 참고하시길.
기사 내용을 정리해보면 MacBook이나 MacBook Pro 13인치나 성능은 2GB 메모리 차이에도 불구하고 거의 동일하다. $200 투자해서 멋진 알미늄 외관과 FireWire 포트, SD 카드 슬롯이 필요하다면 MacBook Pro를 사라 머 대충 이런 내용이다.

이로써 내가 Apple에 가져다 바친 돈이 또 늘어났다. 크...

iPod Nano
iPod Touch
iPod Shuffle
iPhone x 2
iMac
MacBook

곧 iPad도 이 목록에 추가할 예정.

업뎃: 지금 도착해서 프로그램 깔고 약 3시간 정도 사용 중. 걱정했던 발열은 별로 문제 될 것 없어 보이고 기본적인 어플들 다 실행해보니 내가 사용하는데는 하등 문제 없어보임. 흰둥이 디자인도 이쁘다.


수요일, 2월 20, 2008

Mac OS: Mac OS 10.5.2에서 1.4 버전의 JDK 사용하기

phoneMe를 Mac OS에서 해보기 위해 JDK 1.4.2 버전을 설치하려고 했더랬다. 잘 몰랐는데 Sun의 JDK는 Mac 운영체제는 지원을 안하더군...
결론적으로 말해서 Mac OS의 기존 JDK는 아래 path에서 찾을 수 있다.

/System/Library/Frameworks/JavaVM.framework/Versions/1.4.2/Home/

1.3 버전까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요일, 2월 19, 2008

Mac OS: Cisco VPN 클라이언트가 Error 51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 해결

집에서 가끔식 회사 네트워크에 접속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Ciscos VPN 클라이언트가 Mac OS 10.5.2에서 Error 51을 보여주면서 전혀 작동을 하지 않았다. 어쩔 수 없이 Windows Bootcamp에서만 VPN을 사용하다가 시간 내어 자료를 찾아보니 손쉬운 해결 책이 있었다.

바로,
4.9.01 버전의 Cisco VPN 클라이언트로 업그레이드해주니 문제가 쉽게 해결되었다.

일요일, 2월 17, 2008

Mac OS: iCal과 Google 캘린더 연동하여 사용하기

개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Google 서비스인 캘린더. 회사에서 미팅, 개인 일정등을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얼마전 구입한 Mac의 iCal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수 없나 인터넷을 뒤지고 다니다 알아낸 손쉬운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1) iCal에서 Google의 캘린더 내용 보기만 하기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iCal에서 Google 캘린더의 내용만 보고자 한단면 캘린더의 ICAL 주소를 이용하여 iCal에서 구독만 해주면 된다.

2) iCal에서 Google 캘린더와 쌍방향 연동하기
그냥 보기만 하는 것이 아쉽다면 몇가지 설정을 통해 iCal에서 작성한 내용이 Google 캘린더로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순서대로 웹 페이지를 참조하여 설정하기 바란다.

  • 1) GCALDeamon 을 설치한다.
  • 2) Configuration editor를 이용하여 Google 캘린더 계정을 설정한다.
  • 3) 자신의 Google 캘린더 계정의 ICAL URL을 이용하여 GCALDeamon의 설정 값이 정상적인지 확인하다. --> 내 경우 configuration editor가 자동으로 찾아낸 ICAL 주소 값이 틀려서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다.
  • 4) 제대로 설정이 되었다면 sync-now.sh를 실행한 후 Google 캘린더의 내용을 iCal에서 볼 수 있다. 또한, iCal에서 새로 추가한 내용을 Google 캘린더에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 5) sync-now.sh를 로그인 시 혹은 주기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LINGON 프로그램으로 launchd에서 실행되도록 설정한다. --> 내 경우 로그인 시 그리고 10분 마다 sync-now.sh 스크립트가 실행되도록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 6) 정상적으로 설정이 완료되면 시스템을 재 부팅 한 후 Google 캘린더의 내용과 주기적으로 동기화가 이루어지는지 테스트 해보도록 하자.